종가의 정성

종가의 솜씨  활용사업 소개

제사는 우리가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는 최소한의 성의 표시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다하지 못한 효도의 연장이고, 우리 민족의 정신문화이기도 하다.

또한, 자신의 뿌리를 확인하고 생명의 근본을 깊이 새기는 의식으로 이를 통하여 가문의 전통과 정신을 배우며, 가족의 화합과 우의를 다짐하는 정신문화이기도 하다.

예로부터 제사를 지낼 때 각 집안에서 직접 담그던 전통이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주세 정책으로 집에서 술을 빚는 게 금지됐고, 1960년대 정부의 양곡 보호 정책 때문에 쌀로 술을 만들 수 없게 되면서 가정식 발효주의 전통이 끊기는 듯했다

이에 종가에서 종가의 비법이 깃든 제례주와 제례음식을 만들어보며 사라져가는 제례 문화를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를 만들고, 지역 특산품인 ‘연산 대추’를 활용한 ‘대추고추장’과 제례음식인 ‘웃저지’그리고, 누구나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의정공 종부의 ‘전통 저장’을 통해 의정공 김국광선생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알아보고자 한다.

 


개요

의정공 김국광선생은 조선 세조 때 좌의정에 오른 인물로

연산 백중놀이를 만들어 백성들과 함께 하는 삶을 추구하셨고,
백중놀이 기간에는 전국의 손님들이 몰려들어 

종가의 장독이 다 비었다고 할 만큼 장맛이 유명하였습니다.

  • 총 4회짜리 프로그램으로 구성. 3차례 진행
  • 회별 프로그램
    1. 메주띄우기 : 의정공김국광, 종가의 장독, 저장이란, 저장메주띄우기
    2. 제례주 숙성 : 술의 역사, 봉제사접빈객, 술 빚기, 단지에 숙성
    3. 대추고추장 : 연산대추, 대추 으깨기, 고춧가루고르기, 재료 섞어 숙성
    4. 제레주 뜨기, 저장완성 : 용수박기, 제례주 뜨기, 메주 빻기, 저장 양념하기

  • 차별 일정
    • 1차 : 4월 11, 18, 25일 / 5월 2일
    • 2차 : 9월 19, 26일 / 10월 10,17일
    • 3차 : 10월 24, 31일 /  11월 3, 4일

  • 진행 시간 :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 ~ 12시(10분전까지 개별 집합)
  • 장소 : 의정공 김국광 종가(의정공김국광사당, 모선재)
  • 위치 : 충남 논산시 연산면 고정1길 34-13
  • 인원 : 각 차별 선착순 20명 모집
  • 비용 : 체험재료비 15,000원

참여 신청


프로그램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