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759261&thread=09r02
충남도, 논산 돈암서원…세계유산 최종 등재 행정력 '총동원'
한옥체험마을 운영, 충청유교문화원 건립 등 계획 수립 및 추진 박차

나소열 문화체육부지사가 21일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돈암서원 세계유산 등재 대응 및 등재 후 보존·활용 계획 등을 말하고 있다./아시아뉴스통신 박성민기자
충남도가 논산 돈암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서원’이 세계유산 ‘등재 권고’를 받은 가운데, 세계유산 등재 최종 결정까지 행정력을 총동원한다.
또 한옥체험마을 운영과 충청유교문화원 건립 등 등재 이후 보존 및 활용계획 수립·추진에도 박차를 가한다.
나소열 문화체육부지사는 21일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돈암서원 세계유산 등재 대응 및 등재 후 보존·활용 계획 등을 밝혔다.
돈암서원과 전북 정읍 무성서원, 대구 달성 도동서원 등 9개 서원으로 구성된 한국의 서원은 지난 14일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로부터 세계유산 등재 권고를 통보받았다.
이코모스의 등재 권고는 한국의 서원이 ▲조선시대 사회 전반에 보편화 됐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이자 성리학 전파에 이바지했다는 점 ▲전체유산과 각 구성유산의 진정성과 완정성, 보좌관리계획 등도 갖췄다는 평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문화재청, 전북·경북 등 6개 광역자치단체, 논산·정읍·경주·안동 등 8개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해 ‘등재 이후 9개 서원에 대한 통합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와 함께 다음 달 30일부터 7월 10일까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리는 ‘제42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 등록이 최종 결정될 때까지 각종 상황에 중점 대응한다.

논산 돈암서원 전경.(사진제공=충남도청)
돈암서원 세계유산 등재 후에는 ‘세계유산 협약’ 및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용지침’ 등 국제규범에 근거한 유적의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시행한다.
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운영 중인 ‘돈암서원 예 힐링캠프’와 ‘돈암서원 인성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강화토록 한다.
또 한옥체험마을과 예학관 등이 내년 문을 열 수 있도록 개관 준비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돈암서원 완충 구역 내에 위치한 한옥체험마을과 예학관 등은 1만 4224㎡의 부지에 16개 건축물로 구성돼 있으며 건축 연 면적은 1847㎡이다.
도는 이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대표 유교 전문기관’이 될 충청유교문화원 문을 오는 2021년 상반기 열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충청유교문화원은 충청에 산재한 유교 관련 유·무형 자료 수집·연구와 교육 등을 위해 도가 지난 2013년 기본계획을 세워 다음 달부터 착공할 예정이다.
위치는 논산시 노성면으로, 4만 6721㎡의 부지에 건축연면적은 4927㎡에 달한다.
나소열 부지사는 “돈암서원이 세계유산 반열에 오를 경우 도민 자긍심이 크게 높아지는 것은 물론, 국민과 세계인들 사이 돈암서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는 관광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한국의 서원이 세계유산으로 최종 등재될 수 있도록 관련 자치단체와 힘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1634년 사계 김장생(1548∼1631)의 제자들과 지역 사림이 의해 건립된 돈암서원(사적 제383호)은 강학 건축물의 탁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건축물의 현편과 목판, 장서 등은 예학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특히 보물 제1569호인 응도당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서원 강당으로, 유교적 고례를 재해석해 완성한 뛰어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돈암서원에서는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 집(1574∼1656), 제자 송시열(1607∼1689), 송준길(1606∼1672)이 배향돼 있다.
관련링크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759261&thread=09r02
충남도, 논산 돈암서원…세계유산 최종 등재 행정력 '총동원'
한옥체험마을 운영, 충청유교문화원 건립 등 계획 수립 및 추진 박차
나소열 문화체육부지사가 21일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돈암서원 세계유산 등재 대응 및 등재 후 보존·활용 계획 등을 말하고 있다./아시아뉴스통신 박성민기자
충남도가 논산 돈암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서원’이 세계유산 ‘등재 권고’를 받은 가운데, 세계유산 등재 최종 결정까지 행정력을 총동원한다.
또 한옥체험마을 운영과 충청유교문화원 건립 등 등재 이후 보존 및 활용계획 수립·추진에도 박차를 가한다.
나소열 문화체육부지사는 21일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돈암서원 세계유산 등재 대응 및 등재 후 보존·활용 계획 등을 밝혔다.
돈암서원과 전북 정읍 무성서원, 대구 달성 도동서원 등 9개 서원으로 구성된 한국의 서원은 지난 14일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로부터 세계유산 등재 권고를 통보받았다.
이코모스의 등재 권고는 한국의 서원이 ▲조선시대 사회 전반에 보편화 됐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이자 성리학 전파에 이바지했다는 점 ▲전체유산과 각 구성유산의 진정성과 완정성, 보좌관리계획 등도 갖췄다는 평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문화재청, 전북·경북 등 6개 광역자치단체, 논산·정읍·경주·안동 등 8개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해 ‘등재 이후 9개 서원에 대한 통합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와 함께 다음 달 30일부터 7월 10일까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리는 ‘제42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 등록이 최종 결정될 때까지 각종 상황에 중점 대응한다.
논산 돈암서원 전경.(사진제공=충남도청)
돈암서원 세계유산 등재 후에는 ‘세계유산 협약’ 및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용지침’ 등 국제규범에 근거한 유적의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시행한다.
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운영 중인 ‘돈암서원 예 힐링캠프’와 ‘돈암서원 인성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강화토록 한다.
또 한옥체험마을과 예학관 등이 내년 문을 열 수 있도록 개관 준비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돈암서원 완충 구역 내에 위치한 한옥체험마을과 예학관 등은 1만 4224㎡의 부지에 16개 건축물로 구성돼 있으며 건축 연 면적은 1847㎡이다.
도는 이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대표 유교 전문기관’이 될 충청유교문화원 문을 오는 2021년 상반기 열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충청유교문화원은 충청에 산재한 유교 관련 유·무형 자료 수집·연구와 교육 등을 위해 도가 지난 2013년 기본계획을 세워 다음 달부터 착공할 예정이다.
위치는 논산시 노성면으로, 4만 6721㎡의 부지에 건축연면적은 4927㎡에 달한다.
나소열 부지사는 “돈암서원이 세계유산 반열에 오를 경우 도민 자긍심이 크게 높아지는 것은 물론, 국민과 세계인들 사이 돈암서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는 관광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한국의 서원이 세계유산으로 최종 등재될 수 있도록 관련 자치단체와 힘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1634년 사계 김장생(1548∼1631)의 제자들과 지역 사림이 의해 건립된 돈암서원(사적 제383호)은 강학 건축물의 탁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건축물의 현편과 목판, 장서 등은 예학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특히 보물 제1569호인 응도당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서원 강당으로, 유교적 고례를 재해석해 완성한 뛰어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돈암서원에서는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 집(1574∼1656), 제자 송시열(1607∼1689), 송준길(1606∼1672)이 배향돼 있다.